본 글을 자동차 구입 시 강제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공채에 대한 개념을 아래 글에서 알아본 후 '공채 매입, 유지, 할인' 등에 대한 개념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글입니다. 자동차를 구매하게 되면 강제적으로 공채를 매입하게 됩니다.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에서 설명드렸습니다.
[공채할인률 높이기] 자동차 견적서 70만원 절약하는 방법
그러면 매입한 공채는 약정기간동안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?
아닙니다.
이때 나오는 단어가 '공채 매입', '공채 할인'입니다.
▣ 공채 매입과 공채 할인
목차
1. 공채 매입이란
자동차 구매자는 반드시 공채를 매입해야 한다고 했습니다. 왜? 바로 차량 구매자는 국가에서 건설한 사회기반시설(도로 등)을 이용할 것이고 이 사회기반시설을 유지, 관리, 보수하기 위해 지출되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서입니다.
◎ 매입하는 공채의 종류는 총 2가지입니다.
- 도시철도채권 :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재원조달을 목적으로 발행
- 지역개발채권 : 주민복리증진과 지방공기업 및 지역개발사업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금 조달, 공급 목적으로 발행
◎ 매입한 채권의 종류 및 상환방식, 이율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.
◎ 비영업용 승용차 신규 등록 시 지역별 채권 매입액(율)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도시철도채권
- 지역개발채권
◎ 차량 구입 시 등록비용 간편 계산방법
※ 차량 가격 및 거주지역 입력하면 바로 산출
https://www.car365.go.kr/m3/contents/m3newcar_cost.do
2. 공채 할인이란
차량의 구매자는 거의 대부분 할인을 합니다. 그 이유는 채권을 사서 의무보유기간 동안 보유한 후 매각하여도 수익률이 높지 않기 때문입니다. 만약 내가 강제적으로 매입한 채권을 매각하면 일정금액 할인된 금액으로 원금상환이 되며 대부분은 이 방법을 선택합니다. 즉, 대부분은 초기 비용부담을 덜기 위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해서 즉시 매도하는 것을 선택하여 '할인비용'만 납부하고 끝냅니다.
※ 할인금액 계산방법
= 매입금액 X * 할인율
= 매입금액 - 매도금액 + 선급이자(2%) + 이자소득세 + 은행 수수료
예를들어 할인을 하지 않고 매입한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는 경우에는
<100만원 채권을 매입해서 5년 보유시 이자율이 5%인 경우> - 5년 후에는 100만원 +@를 받게 됩니다. - 그러나 이 수익률이 대체로 낮고 물가상승률 보다 낮은 경우가 많아 바로 할인해서 원금회수를 선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|
a) 채권 매입 면제 또는 감면 대상자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.
신차구입 또는 중고차 구입, 명의이전 등 내야 하는 공채의 개념 및 매입과 할인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. 결국 공채는 우리가 알게 모르게 사용하는 도로나 다리 등 사용하는 비용을 납부하기 위해 지불하는 것입니다. 채권 매입 후 어떤 것이 본인에게 유리한지는 잘 보고 판단하시어 방향을 설정하시면 됩니다.
제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트 및 구독 부탁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 건강하세요.
'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중고차] 개인 간 거래 시 명의이전 방법과 비용 한눈에 알아보기 (0) | 2023.11.15 |
---|---|
[공채할인률 높이기] 자동차 견적서 70만원 절약하는 방법 (0) | 2023.01.15 |